티스토리 뷰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우리 회사의 미래 약속은?

미래를 위한 약속,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쉽게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라는 이름의 보고서에 대해 알아볼 거예요. 요즘 '지속가능성'이라는 말이 자주 들리죠? 기업도 이제 단순히 돈만 버는 것을 넘어,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그리고 올바른 경영(Governance, 지배구조)까지 생각하며 오랫동안 건강하게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어요. 지속가능경영보고서는 바로 이러한 기업의 노력을 담은 종합 보고서랍니다!

목차


 

 

1.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왜 필요하고 무엇을 담나요?

지속가능경영보고서는 기업이 경제적인 성과뿐만 아니라, 환경 보호를 위해 얼마나 노력하는지(환경적 성과), 직원, 고객, 지역사회 등 사회 구성원들에게 어떤 책임을 다하는지(사회적 성과) 등을 종합적으로 측정하고 기록해서 이해관계자들에게 주기적으로 알려주는 보고서예요.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기도 해요. 예를 들면 '지속가능성보고서', '사회·환경보고서', '기업의 사회책임(CSR) 보고서', 'TBL(Triple Bottom Line) 보고서' 등이죠. 이름은 달라도 핵심은 같아요: 경제, 환경, 사회 세 가지 측면에서 기업이 얼마나 균형 있게 노력하고 성과를 내고 있는가?

왜 필요할까요?

  • 회사 내부 발전: 회사가 나아갈 방향을 명확히 하고, 구체적인 전략을 세우고 실천하는 데 도움이 돼요.
  • 이해관계자와 소통: 투자자, 고객, 직원, 지역사회 등 다양한 사람들의 궁금증에 답하고, 회사의 투명성을 높여 좋은 이미지를 만들어요.
  • 위험 관리 & 가치 상승: 환경오염, 인권 문제 등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미리 파악하고 대비할 수 있어요. 또, 착한 기업이라는 평판은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시장에서 더 많은 선택을 받는 데 기여해요.

 

 

2. 좋은 보고서를 위한 원칙은? (GRI 기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작성 기준인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 Standards에서는 좋은 보고서가 갖춰야 할 원칙들을 제시하고 있어요. 크게 '보고 내용'을 정할 때와 '보고 품질'을 높일 때 지켜야 할 원칙으로 나눌 수 있어요.

보고 내용 결정 원칙:

  • 이해관계자 참여: 보고서를 보는 사람들(이해관계자)이 어떤 정보를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파악하고 그들의 의견을 반영해야 해요.
  • 지속가능성 배경: 회사의 성과를 단순히 숫자만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 전체의 지속가능성이라는 큰 맥락 속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설명해야 해요.
  • 중요성(Materiality): 회사의 경제, 환경, 사회적 영향과 이해관계자의 의사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주제들을 중심으로 보고해야 해요. 모든 것을 다 담을 필요는 없어요.
  • 완전성: 중요한 주제들에 대해 이해관계자들이 회사의 성과를 평가하기에 충분한 정보를 빠짐없이 제공해야 해요. 보고 기간, 범위 등을 명확히 해야 하죠.

보고 품질 보증 원칙:

  • 정확성: 정보는 정확하고 상세해야 해요. 오류가 없어야 하죠.
  • 균형성: 좋은 성과만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부족하거나 부정적인 측면도 공정하게 포함해야 해요.
  • 명확성: 이해관계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명확하고 간결한 언어를 사용해야 해요.
  • 비교가능성: 이전 보고서나 다른 회사의 보고서와 비교할 수 있도록 일관된 방식으로 정보를 제공해야 해요.
  • 신뢰성: 보고된 정보의 출처가 명확하고 검증 가능하여 믿을 수 있어야 해요.
  • 적시성: 이해관계자들이 제때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정해진 시기에 맞춰 보고서를 발간해야 해요.

 

 

3. 어떤 기준으로 작성할까요? (GRI, BSR, UNGC)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작성할 때 참고할 수 있는 대표적인 기준(가이드라인)들이 있어요.

  • GRI Standards:
    • 가장 널리 사용되는 국제 표준이에요. 2000년에 처음 발표된 후 여러 번 개정되었어요 (최신은 GRI Standards).
    • 구성:
      • 공통 기준 (GRI 100 시리즈): 모든 기업이 따라야 하는 기본 원칙, 회사 일반 정보(프로필, 전략, 지배구조 등), 중요한 주제를 관리하는 방식 등을 담고 있어요.
      • 특정 주제 기준 (GRI 200, 300, 400 시리즈): 경제(6개), 환경(8개), 사회(19개) 분야별로 구체적인 성과 지표들을 제시하고 있어요. 기업은 이 중에서 자신들에게 '중요한' 주제를 선택해서 보고해요.
    • 특징: 모듈식 구조로 되어 있어 필요한 부분을 찾아보기 쉽고, 보고 요구사항과 언어가 명확해졌어요.
  • BSR 가이드라인:
    • 우리나라 기업들의 보고서 발간을 돕기 위해 2006년에 만들어진 국내 가이드라인이에요.
    • 보고서 개요와 성과지표(경제, 환경, 사회)로 구성되어 있어요.
    • 작성 원칙은 GRI와 유사하게 중요성, 명확성, 정확성, 완전성을 강조해요.
  • UN 글로벌 콤팩트(UNGC):
    • 2000년 UN에서 발표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국제 협약이에요.
    • 인권, 노동, 환경, 반부패 4개 분야의 10대 원칙을 제시하고, 기업들이 이 원칙들을 지지하고 실천하며 그 내용을 보고하도록 권장해요. 보고서 작성 '기준'이라기보다는 기업이 추구해야 할 '원칙'에 가까워요.

 

4. 보고서, 믿을 수 있을까? (제3자 검증)

기업이 스스로 작성한 보고서, 과연 얼마나 믿을 수 있을까요? 이런 의문을 해소하고 보고서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제3자 검증'이라는 절차를 거치는 경우가 많아요.

제3자 검증이란?

회사와 독립적인 외부 전문가나 전문 기관이 일정한 기준과 절차에 따라 보고서에 담긴 정보가 정확하고 믿을 만한지 확인하고 보증해주는 과정이에요. 마치 회계감사처럼, 전문가가 객관적인 시각으로 보고서를 살펴보는 거죠.

왜 필요할까요?

  • 보고서의 신뢰도와 객관성을 크게 높일 수 있어요.
  • 잘못된 정보나 누락된 부분을 찾아내 개선할 기회를 제공해요.
  • 이해관계자들에게 "우리 보고서는 전문가의 검증을 받았습니다!"라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게 해줘요.

어떤 기준으로 검증할까요? (대표적인 검증 기준)

  • AA1000 (AccountAbility):
    • 영국 Accountability라는 기관에서 만든 국제 검증 기준으로, 특히 이해관계자의 참여를 중요하게 생각해요.
    • 기본 원칙: 포괄성(이해관계자 참여 보장), 중요성(중요 정보 제공), 대응성(이해관계자 요구에 대응)
    • 검증 유형: Type 1(기본 원칙 충족 검증), Type 2(Type 1 + 특정 성과 정보 신뢰성 검증)
    • 검증 수준: 중위 수준(Moderate, 내부 증거 중심), 고위 수준(High, 내외부 증거 + 깊이 있는 검증)
  • ISAE 3000 (IAASB):
    • 국제회계사연맹(IFAC) 산하 위원회에서 만든 비재무정보에 대한 국제 검증 기준이에요.
    • 회계감사 절차와 유사하며, 검증인의 전문성과 윤리를 강조해요.
    • 검증 수준: 합리적 검증(Reasonable, 높은 수준, 긍정적 결론), 제한적 검증(Limited, 중간 수준, 부정적 결론 형식)

검증 절차는 보통 계획 수립 → 문서 검토 → 현장 검증 → 결과 정리 및 보완 → 검증보고서 제출 순으로 진행돼요.

 

 

 

5. 보고서는 어떻게 평가받나요?

발간된 지속가능경영보고서는 여러 기관이나 단체에서 그 내용과 품질을 평가하기도 해요. 이런 평가는 기업들이 더 나은 보고서를 만들도록 독려하고, 이해관계자들이 좋은 보고서를 알아보는 데 도움을 줘요.

평가 기준은 나라나 평가 기관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대체로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중요하게 봐요.

  • 보고 원칙(신뢰성, 비교가능성, 명확성 등)을 잘 지켰는가?
  • 중요한 정보(환경, 사회, 경제 성과)를 충분히 담고 있는가?
  • 이해관계자와의 소통 노력이 잘 드러나는가?
  • 회사의 전략과 성과가 잘 연결되어 설명되는가?
  • 제3자 검증을 받았는가?

영국, 유럽연합, 일본 등 여러 나라에서 자체적인 평가 기준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한국경영인증원 같은 기관에서 평가를 수행하고 있어요.

 

 

 

6. 한눈에 보는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요약표

주요 개념 설명 핵심 포인트
지속가능경영보고서 기업의 경제, 환경, 사회적 성과를 종합적으로 측정하여 이해관계자에게 보고하는 문서 TBL(Triple Bottom Line) 보고서, CSR 보고서 등 다양한 명칭 사용
필요성 내부 프로세스 개선, 이해관계자 소통 강화, 리스크 관리 및 기업가치 제고 지속가능경영의 중요성 증대
작성 원칙 (GRI) 보고 내용 결정 (이해관계자 참여, 지속가능성 배경, 중요성, 완전성) / 보고 품질 보증 (정확성, 균형성, 명확성, 비교가능성, 신뢰성, 적시성) 보고서의 질과 유용성 확보
작성 기준 보고서 작성 시 참고하는 국제/국내 표준 GRI Standards (국제 표준), BSR 가이드라인 (국내), UNGC (원칙 제시)
제3자 검증 독립적인 외부 전문가/기관이 보고서 정보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검증하는 절차 보고서 신뢰도 향상 / 검증 기준: AA1000, ISAE 3000 등
보고서 평가 발간된 보고서의 내용과 품질을 평가하는 것 더 나은 보고서 작성 독려, 우수 보고서 식별 지원

오늘은 기업의 미래 약속이자 종합 성적표라고 할 수 있는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단순히 회사가 얼마나 돈을 잘 버는지만 보는 시대를 넘어, 환경과 사회를 얼마나 생각하는지가 중요해지고 있어요. 지속가능경영보고서는 바로 이런 변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랍니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